본문 바로가기
학생 진로 이야기

AI 시대 앞으로 학생들이 키워야하는 역량은 ?

by SwMaker_Jun 2025. 6. 16.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더 이상 학벌, 스펙이 아닌 '이 능력' 더 주목받는다 AI시대 결국 살아남는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 (이경민 작가)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SyjNnLLIz8&t=1586s

 

이 영상은 학생들이 미래 진로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중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습니다. 

 

미래 유망 직업 및 산업 동향

  • AI 시대의 변화와 기회: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일부 직업은 사라질 수 있지만 [01:44], AI를 설계하고 기획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많은 기회가 생겨날 것입니다 [01:53]. 이는 과거 산업 혁명 시기에 기계가 도입되면서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났던 것과 유사합니다 [05:42].
  • 사라지는 일자리:
    • 콜센터 상담원: AI 음성 기술 발전으로 단순 고객 응대 업무가 대체되고 있습니다 [06:25].
    • 은행원: 인터넷 은행의 확산과 챗봇의 고도화로 은행 창구 업무가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[06:57].
    • 운송 서비스 종사자: 자율주행 기술 발달로 택시 기사나 택배 기사 등 운송 서비스 직업군이 대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[07:39].
  • 대체되지 않을 직업:
    • AI 설계 및 기획자: AI를 설계하고 기획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더욱 풍요로워지고 일자리가 늘어날 것입니다 [08:03].
    • 프롬프트 엔지니어: ChatGPT와 같은 AI에 더 정교하게 질문하고 입력하는 전문 직업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[08:21].
    • 작가 (창의적 영역): 노벨 문학상 수상과 같이 인간의 경험과 상상력, 공감 능력이 필요한 창의적 영역은 AI가 대체할 수 없습니다 [08:42]. 웹툰 작가의 경우, 그림은 AI의 도움을 받지만 스토리텔링에 더 집중하게 될 것입니다 [12:40].
    • 공감 능력이 중요한 직업: 고객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'휴먼 터치'가 중요한 콜센터나 서비스업 분야는 대체되기 어렵습니다 [09:09].
    • 교사: AI가 학습시킨 의도에 따라 내용이 변화될 수 있기에, 전인적 교육과 고민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대하는 교사의 역할은 중요합니다 [09:43].

진로 선택 시 고려사항

  • 컴퓨터 공학 전공에 대한 재해석: 엔비디아의 젠슨 황은 단순히 코딩하는 '코딩 기계'가 아닌, '무엇을 코딩해야 할지' 고민하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[10:43]. 즉, AI 발전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생물학 같은 학문을 전공하는 것을 추천했습니다 [11:06].
  • 불편함 속에서 기회 찾기: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아이디어가 미래 산업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[13:37]. 구글이 검색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[15:42], 애플이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을 개선한 것 [17:04] 등이 그 예시입니다.
  • 하고 싶은 것을 통한 기회 발견: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, 무엇을 보여주고 싶어 하는지에 집중하면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[18:36].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사용자들의 욕망을 잘 건드려 성공한 사례입니다 [17:47].
  • 리더십과 기업가 정신 함양:
    • 팔로우십보다 리더십: 기업들은 단순히 지시를 따르는 팔로우십이 아닌,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제시하며 다른 사람들을 이끌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인재를 원합니다 [23:47].
    • 집요함과 탐구심: 청소년기에 높은 '집요함'을 활용하여 [26:32], 좋아하는 분야에 깊이 몰입하고 탐구하는 기업가 정신을 키워야 합니다 [25:54]. 이는 구경수 공부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인생에도 중요합니다 [26:23].
    • 다양한 경험 노출: 아이들이 좋아하는 웹툰이나 게임, 틱톡 등을 무조건 막기보다는, 그 안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에 노출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[28:14].

부모의 역할

  • 미래 지향적 사고: 부모님들은 자녀의 진로를 결정할 때 20년, 30년 전 본인들의 학창 시절 기준에 머무르지 말고, 미래 산업의 트렌드를 이해하고 자녀가 잘 살 수 있는 길을 추천해야 합니다 [21:17].
  • 개방적인 태도: AI나 기술 발전을 위험하거나 어렵다고만 생각하지 말고, 개방적인 자세로 자녀가 새로운 기술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합니다 [22:05].
  • 기회 제공: 자녀가 다양한 분야를 체험하고 흥미를 찾을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여, 하나의 좁은 길에서만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직업군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[27:50].

이 영상은 학벌이나 스펙보다는 변화하는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, 기업가 정신, 그리고 AI를 설계하고 활용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[00:00], 부모님들이 자녀의 진로를 안내할 때 과거의 기준이 아닌 미래 지향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[21:17].

728x90
반응형

'학생 진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건축이야기 #1.  (2) 2025.06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