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1. Roboflow Labels 달기.
바운딩 박스 그리기 (Bounding Box)
- 화면에서 초록/보라색 박스가 보이는 부분이 바로 바운딩 박스
-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객체(강아지)에 맞는 사각형 영역을 그림
- 박스를 통해 AI가 “여기에 객체가 있다”고 인식하게 됨
클래스(Class) 지정
- Annotation Editor에 라벨 이름 입력: dog
- 한 장의 이미지에 여러 객체가 있을 경우 → 객체마다 박스를 따로 그리고 동일하게 dog 클래스 부여
- 이렇게 하면 AI가 “이 사진에는 강아지가 2마리 있다”라고 배울 수 있음
저장 및 관리
- Save (Enter) → 라벨 저장
- 라벨링된 객체 개수는 화면 왼쪽 “Annotations”에 기록됨
- 라벨 목록에 dog 클래스가 추가됨
- “라벨링은 AI에게 ‘여기 봐, 이건 강아지야!’ 하고 알려주는 과정이에요.”
- “바운딩 박스는 교과서에서 밑줄 치듯, 중요한 부분을 표시해주는 것과 같아요.”
- 라벨링이 정확해야 학습 결과가 좋아짐 → 부정확한 라벨은 AI 성능을 크게 떨어뜨림
- 여러 장의 사진에서 꾸준히 같은 기준으로 라벨을 붙이는 것이 중요함
2. 모든 사진에 Bounding Box, Labels 달기.
3. Roboflow Dataset
1. 데이터셋 현황
- 왼쪽 메뉴에서 Dataset (110) 표시 → 총 110장의 이미지가 포함된 데이터셋
- 중앙에 고양이 이미지들이 라벨링된 상태로 보임
- 각 이미지마다 보라색·분홍색 박스가 그려져 있는데, 이는 라벨링된 바운딩 박스임
2. 상단 기능
- Search Images: 이미지 검색 가능
- Split: 데이터셋을 학습용/검증용/테스트용으로 분리
- Classes / Tags: 특정 클래스(예: cat, dog)나 태그별로 필터링 가능
- Sort By: 최신순, 오래된 순 등 정렬
- Train Model 버튼: 준비된 데이터셋을 가지고 인공지능 학습 시작
3. 주석 확인
- Show annotations 버튼이 켜져 있음 → 각 이미지의 라벨링 결과가 화면에 표시됨
- 예: cat_473.jpg에는 고양이 위치를 나타내는 보라색 박스가 그려져 있음
4. 데이터셋 버전 관리
- 오른쪽 상단 New Dataset Version 버튼 → 데이터셋을 새로운 버전으로 생성 가능
- 예를 들어, 라벨링을 추가하거나 수정한 후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서 이전 버전과 성능 비교 가능
5. 학생 눈높이 설명
- “이 화면은 여러분이 열심히 라벨링한 결과를 모아둔 정리된 문제집이에요.이제 이 문제집을 가지고 AI가 공부(학습)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.
‘Train Model’ 버튼을 누르면 AI가 이 데이터로 배우게 되는 거예요.”
4. Train Model
1. Roboflow Instant Model
- 설명: 가장 간단한 학습 방법
- Roboflow가 제공하는 기본 학습 환경에서 업로드한 데이터셋을 바로 학습
- 별도의 복잡한 설정 필요 없음 → 클릭 한 번으로 빠르게 결과 확인 가능
- 👉 학생 수업용으로 가장 적합 (즉시 AI 모델 생성 가능)
2. Custom Training
- 설명: 사용자가 직접 학습 과정을 세밀하게 설정하는 방식
- 데이터 전처리 방법
- 데이터 증강(Augmentation, 회전·자르기·밝기 조정 등)
- 모델 종류(YOLO, Faster R-CNN 등) 선택 가능
- 👉 고급 사용자/연구 프로젝트에 적합
- 예: 학습 속도를 빠르게 하고 싶거나, 특정 모델 구조를 실험하고 싶을 때
3. Upload Custom Weights
- 설명: 사용자가 이미 다른 환경(예: 구글 코랩, 로컬 PC)에서 학습한 모델 가중치(Weights)를 업로드
- Roboflow에서 추가 테스트·배포 가능
- 👉 연구자나 프로 개발자가 외부에서 만든 모델을 로보플로우에 가져와 활용할 때 사용
4. Train / Valid / Test 데이터셋 분리
1. 자동 분할 (추천)
|
2. 직접 분할 (수동)
|
- Train = 공부할 때 보는 문제집
- Valid = 공부 중에 보는 모의고사
- Test = 시험 당일 문제
👉 그래서 데이터를 잘 나눠야 AI가 공부만 잘하고 시험은 못 보는 일을 막을 수 있어요.
5. Model Test
테스트 방법
- 이미지 또는 비디오 파일 업로드
→ 학생이 준비한 새로운 이미지를 넣어 모델이 잘 인식하는지 확인 - 이미지 URL 붙여넣기
→ 인터넷 상의 이미지 주소를 그대로 붙여넣어 테스트 가능 - 웹캠 사용(내 기계에서 시도해 보세요)→ 실시간으로 웹캠을 켜고 테스트할 수도 있음
학습되지 않은 데이터 사진을 찾아 확인해 보자. !
728x90
반응형
'인공지능 기초 수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ediapipe 메쉬 모델 입크기를 서보모터 각도 값으로 변환하기. (0) | 2025.09.03 |
---|---|
Mediapip 메쉬(Mesh)모델 활용하기. (0) | 2025.09.03 |
Roboflow #1. 활용 이미지 데이터 업로드 하기. (2) | 2025.09.01 |
kaggle 에서 이미지 데이터 받아오기. (2) | 2025.09.01 |
mediapipe 매쉬 모델활용 얼굴 트레킹봇 만들기. (4) | 2025.08.14 |